스스로 놓으려던 생명의 끈, 응급실에서 다시 잇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스로 놓으려던 생명의 끈, 응급실에서 다시 잇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234명 생명 살려

경기도 일산의 20대 남성 A씨는 희귀병으로 시력을 점점 잃어가던 중 자해를 해 응급실을 방문했다. A씨를 만난 사례관리사는 그가 좌절감과 혼란을 해결하도록 돕고 점자교육과 보행훈련 등 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복지자원과 연계해 새로운 삶을 찾도록 지원했다.
 
전라북도의 80대 B씨는 원만하지 않은 가족관계로 다량의 수면제를 마시고 응급실을 내원했다. 퇴원 후 손 편지와 전화상담, 문자 안부를 통해 보내는 사례관리사의 정성에 B씨는 “살면서 이렇게 누군가의 관심을 받아본 것이 처음”이라며 글씨를 배우기 시작하는 등 새로운 삶의 의지를 표현하기 시작했다.
 
보건복지부는 이처럼 응급실로 내원한 자살시도자를 상담하고 퇴원 후에도 지역사회의 복지·의료서비스와 연계하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의 성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사업은 병원에 배치된 상담인력(병원당 2명)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서비스에 동의한 환자를 지속 상담하고 퇴원 이후까지 지역사회의 복지·의료서비스와 연계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재 전국 27개 병원에서 시행 중이다.
 
복지부는 2013년 8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응급실을 찾은 1만 3643명의 자살시도자 중 서비스에 동의한 6159명(47%)에게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 결과, 2015년 말 기준으로 응급실 방문 자살시도자의 10.6%가 사망했는데 서비스를 받은 수혜자의 사망률은 5.9%로 비(非)수혜자의 사망률(14.6%)보다 낮았다.
 
손목자상, 약물·가스중독, 질식 등 자살로 추정되는 사망자의 비율은 5.7%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사후관리 서비스를 받은 수혜자의 사망률은 3.7%로 집계됐다. 이는 비수혜자의 사망률 7.5%의 절반 수준이었다. 
 
 
장례1.jpg

 
확인된 사망률로 해당 응급실 내원자 전체 ‘사망규모’를 추정하면 자살로 추정되는 사망자는 서비스를 받지 않은 비수혜자 517명, 서비스를 받은 수혜자 228명이다.
 
서비스 제공을 통해 총 사망자 기준으로는 약 536명, 자살추정 사망자 기준으로는 약 234명의 생명을 살린 것으로 추정된다.
 
원광대학교 산본병원에서 사업을 운영 중인 위대한 응급의료과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분들 중 혼자오거나 치료도 제대로 않고 퇴원하는 등 염려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살시도자는 사후관리를 통해 적절한 치료나 지역사회 서비스로 연계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방문규 복지부 차관은 이날 오후 인천 가천대 길병원을 방문해 각 지역 병원에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노고를 격려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실태조사 및 심리부검 결과를 보면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5배나 높다”며 “응급실을 기반으로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 성과가 확인된 만큼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자살재시도 위험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사상조신문(www.sisasangjo.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