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리얼미터] 朴대통령 사퇴·탄핵 여론 74% 계속 증가

기사입력 2016.11.17 18:3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자진 사퇴탄핵, 42.3% (10월 25일) → 55.3% (11월 2일) → 60.4% (9일) → 73.9% (16일)
     
    국민 10명중 7명 이상은 ‘비선실세 국정농단 사건’에 박근혜 대통령이 스스로 사퇴하거나 탄핵으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박 대통령의 책임방식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여론이 43.5%로 가장 높게 조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말 100만 명 규모의 대규모 촛불집회가 열렸고 이번 주에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선실세 국정농단 사건’ 검찰수사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CBS ‘김현정의 뉴스쇼’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비선실세 국정농단 사건에 대해 박 대통령의 책임방식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정치1.jpg

     
    결과,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여론이 43.5%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다음으로 ‘탄핵으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여론은 20.2%, ‘임기를 유지하고, 국회 추천 총리에게 내각 통할권만 부여해야 한다’는 18.6%, ‘즉각 사퇴 후 현 황교안 총리가 권한 대행을 해야 한다’는 10.2%로 나타났으며, ‘기타/잘 모름’은 7.5%였다.
     
    야3당과 시민사회, 여당 일부의 요구인 자진 사퇴(53.7%, 과도내각 구성 후 사퇴 43.5% + 즉각 사퇴 10.2%)와 탄핵(20.2%)은 응답자 전체의 73.9%로 집계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제1차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했던 10월 25일 조사에서는 ‘자진 사퇴 및 탄핵’ 여론이 42.3%를 기록했고, 1주일 후인 최순실 씨가 긴급 체포되어 검찰 조사를 받았던 11월 2일 조사에서는 55.3%로 25일 조사 대비 13.0%p 증가했다.
     
    이후 1주일 후인 국정농단 사건 과정에 박 대통령의 직접 개입 의혹이 확산되었던 9일 조사에서는 2일 조사 대비 5.1%p 증가한 60.4%로 조사됐다. 이번 16일 조사에서는 9일 조사 대비 13.5%p 증가한 73.9%로 70%대를 넘어서며 ‘자신 사퇴 및 탄핵’ 여론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광주·전라(1위 과도내각·사퇴 55.9%, 2위 탄핵 21.7%)에서 5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인천(1위 과도내각·사퇴 49.2%, 2위 탄핵 17.9%), 부산·경남·울산(1위 과도내각·사퇴 43.0%, 2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21.9%), 서울(1위 과도내각·사퇴 42.3%, 2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22.6%), 대전·충청·세종(1위 과도내각·사퇴 35.0%, 2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25.2%)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대구·경북(1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29.5%, 2위 과도내각·사퇴 24.9%)에서는 ‘임기를 유지하고, 국회 추천 총리에게 내각 통할권만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높았다.
     
     
    정치2.jpg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30대(1위 과도내각·사퇴 56.3%, 2위 탄핵 22.0%), 40대(1위 과도내각·사퇴 50.4%, 2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17.2%), 20대(1위 과도내각·사퇴 46.0%, 2위 탄핵 30.7%), 50대(1위 과도내각·사퇴 36.9%, 2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26.6%) 순으로 집계 됐다.
     
    한편, 60대 이상(1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32.5%, 2위 과도내각·사퇴 31.2%)에서는 ‘임기를 유지하고, 국회 추천 총리에게 내각 통할권만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과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1위 과도내각·사퇴 59.7%, 2위 탄핵 18.8%), 국민의당 지지층(1위 과도내각·사퇴 56.1%, 2위 탄핵 22.7%), 정의당 지지층(1위 과도내각·사퇴 45.0%, 2위 탄핵 27.6%), 무당층(1위 과도내각·사퇴 30.5%, 2위 탄핵 27.7%) 등 무당층을 포함한 야 3당 지지층 모두에서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과 ‘탄핵으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1위와 2위로 가장 높았다.
     
    반면, 새누리당 지지층(1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58.0%, 2위 과도내각·사퇴 21.8%)에서는 ‘임기를 유지하고, 국회 추천 총리에게 내각 통할권만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로 조사됐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1위 과도내각·사퇴 49.6%, 2위 탄핵 28.7%), 중도층(1위 과도내각·사퇴 48.7%, 2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18.1%)에서는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보수층(1위 임기유지·내각통할권 34.1%, 2위 과도내각·사퇴 33.3%)에서는 ‘임기를 유지하고, 국회 추천 총리에게 내각 통할권만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과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하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11월 16일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 525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18%), 스마트폰앱(40%), 무선(27%)·유선(15%) 자동응답 혼용 방식으로 무선전화(85%)와 유선전화(15%) 병행 임의전화걸기(RDD, random digit dialing) 및 임의스마트폰알림(RDSP, random digit smartphone-pushing)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13.4%(총 통화 3,917명 중 525명 응답 완료)를 기록했다.
     
    통계보정은 2016년 6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3%p이다.
     
    <시사상조신문 sisa0501@naver.com >
     
    backward top home